지도 제작 도구들 - 보충 정보 2
도구 설명
앨런 챈들러(Alan Chandler)
철재 및 구리 골격과 구리 도금으로 지어진 원뿔은 부지 둘레의 지점들을 향해 연속적으로 떨어진다. 얇은 판으로 된 목재 들보는 3m의 높이에서 원뿔을 떨어뜨리는 데 사용된다. 원뿔이 지면과 마주치기 때문에, 원뿔과 지면은 둘 다 흔적을 남긴다. 손상된 구리 표면은 지도가 되며, 결국 벗겨져서 읽을 수 있도록 평평한 표면이 된다. 원뿔 구조를 형성하는 철제 원판들은 그것이 바닥면과 마주칠 때 구리 표면 속으로 맞물려 들어가는 섬세한 절단 모서리들을 만들기 위해 금속 선반 위에서 회전된다. 원판들의 정교함 때문에 지도로 그리는 진행 과정에서의 손상을 더욱더 추적하기 쉽다. 치수: 원뿔, 200x250mm, 들보 3500x100mm
테일러 갤리언(Taylor Galyean)
도구는 금속판으로부터 육분의(sextant) 원리를 사용하여 부지에다 드로잉을 그리는 장치이다. 지도는 그려진 도형과 부지의 실제 지형 사이의 차이를 측정한 것이다. 구리박을 입힌 상자는 사용자의 관심을 갖게 하며, 일련의 좁고 길게 자른 거울들과 경첩이 달린 기록 표시기들은 함께 부지 위에서 발견되는 표시들을 볼 수 있게 한다. 그 장치 아래에 죄어져 있는 에칭 판 위에 들어 있는 이상화된 도형들은 해석을 위한 골격 구조의 역할을 한다. 자재: 놋쇠, 유리, 거울, 구리, 치수: 500x300x200mm
로렌스 라이우(Laurence Liauw)
도구는 사용자가 바닥면의 왁스 자국을 사용하여 부지의 단편들을 모으고 선택된 텍스트의 결과에 따라 순서 지어진 일련의 칸막이 안에 저장하는 저장 및 도르래 장치로 구성된다. 부지 위에 찍힌 자국의 위치를 정한 물리적 지도는 놋쇠 컨테이너 위에 새겨지며 안에 저장된 왁스 스탬프와 연결된다. 그 장치 자체는 일정의 기록 보관소가 되며, 부지는 그 내용을 정밀하게 살핌으로써 상상력 속에서 고찰될 수 있다. 자재: 연강, 놋쇠, 알루미늄, 주조 왁스, 자전거 체인, 치수: 620x200x1300mm
헬레나 토마스(Helena Thomas)
프레임 위에서 조망하면 양쪽 편으로 부지 바깥의 스카이 라인을 그리며, 기존의 철로 트랙들 위에 있는 부지를 따라 이동한다. 프레임은 관찰자가 수평선의 기록을 새긴 한 장의 판유리를 갖고 있다. 그 장치의 선 긋기와 방향은 사용되지 않은 트랙들의 선과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자재: 목재, 연강, 유리, 치수: 1800x2000x2000mm
인물 탐구
엘리자베스 패터슨 처치
엘리자베스 처치는 1986년 5월에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건축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78년 5월에 듀크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1991년 가을부터 현재까지 노위치대학교 부설 버몬트대학에서 건축학과 조교수로 지내왔다. 버몬트로 오기 전에 그녀는 1990년 가을부터 1991년 봄까지 미시시피 주립대학교에서 건축학과 객원 조교수로 있었다.
처치의 교수법은 1학년 디자인 스튜디오뿐만 아니라 1학년 건축으로의 입문과 1학년 강좌인 수동적인 건물 시스템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교과 과정 배치 업무와 연관된다. 다른 교과 과정으로는 1, 2학년 우등생 세미나, 2학년 디자인 스튜디오, 디자인의 인간적 문제들에 관한 2학년 강좌, 건축 속의 컴퓨터라고 부르는 2학년 실습 강좌가 포함된다. 처치는 1986년 봄부터 1990년 가을까지 뉴햄프셔와 버몬트에서 개인 사무실을 냈다.
앨런 R. 쿡
네브래스카 출신인 앨런 쿡은 버트람 굿휴(Bertram Goodhue) 대사업인 네브래스카 주 의사당 건물을 짓던 해와 가까운 1948년에 태어났다. 그는 어머니의 고향이 유럽이어서 프랑스의 가치 기준은 물론이고 네브래스카 지역의 가치 기준들을 경험하면서 성장하였다.
1971년에 네브래스카대학교에서 환경 디자인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한 후에, 쿡은 애리조나 주 피닉스에서, 그다음에는 네브래스카 주 링컨에서 수습생활을 했다. 그는 결국 네브래스카 주 의사당과 환경 계획에 참가했던 링컨으로 돌아와 대학원에서 건축 공부를 마쳤다. 프로젝트는 1978년 1월에 '진보적인 건축'으로 제1회 계획을 위한 디자인 상을 받았다. 쿡은 1976년에 건축 석사를 완료하였는데, 거기에는 심리학의 본질과 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한 '디자인의 뿌리'라는 제목의 논문이 포함되었다. 북다코타 주립대학교에서 3년 동안 가르친 후에, 쿡은 오번대학교로 옮겨 곧 신입생 건축 디자인 연속물을 지도하는 역할을 맡았다. 1983년에 그는 'Mastermime: 디자인에 있어서 의인화의 전형'이란 제목이 붙은 논문을 ACSA 국민회의에 제출하였는데, 그것은 건축의 이해에 있어 인간 심리해부극 전개의 지배적인 역할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쿡은 현재 '건축에 있어서의 이미지, 미학, 그리고 표현'과 '기하학과 건축'이란 제목의 선택 세미나를 지도하며, 오번대학교에서 건축 디자인학과 3학년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