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과 교육

건축 디자인 교육과 역사 - 3부

코끼리낙원 2023. 10. 2. 13:00

미국 1950년 ~ 1980년대

1950년에서 1980년까지는 급속한 성장과 변화에 따라 필연적으로 건축 교육 뿐만이 아니라 크게는 세계적으로 정체 기간이었다. 건축 대학 연합(A. C. S. A.)의 입장을 대변하는 '건축 교육 저널(The Journal of Architectural Education)'은 교육에 있어서 이 기간의 주요 기록들을 보유하고 있는데, 거기에는 건축의 기초 연구와 관련된 기사들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이것은 위에서 토론한 원리에 근거한 교수법을 지속적으로 사용한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예외도 있는데, 1957년에 '건축 교육 저널'에 '건축 연구 입문'이라는 제목으로 프린스턴의 윌리엄 셸먼(William Shellman)의 주를 단 기사가 실렸다. "만약 한 학생이 건축의 형태를 인간 감정에 일정한 형태를 부여하는 활동으로 상상할 수 있다면, 다른 예술과 마찬가지로 건축이 인간적인 학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셸먼은 특히 '예술작품, 회화, 조각 및 건축의 예술적 구조의 연구'에서 드로잉의 역할에 관해 계속 기술하였다. 아마도 이 인용문은 시대의 모호성을 반영하며 바우하우스의 교육을 회상함과 동시에 그 다음 십년 간의 관심사들을 지적한 것인지도 모른다.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 사이에 세계 정세가 급속하게 변화됨에 따라, 한동안 견고했던 바우하우스 방법에 결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사회적, 환경적 문제들 속에서 건축의 역할이 너무 광범위하고 초점이 빗나갔다는 자각을 하며, 필연적으로 건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라는 이념의 실천으로 나타났다. '프로세스'는 디자인 교육에서 즐겨 사용하는 단어가 되었으며, '형태의 종합에 관한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주(Christopher Alexander's Notes on the Synthesis of Form)'가 1964년에 발행됨으로써 가속화되었다. 알렉산더는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물리적 디자인 문제'를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했는데, 이 프로세스는 집중적이고 때로는 시간을 끌지만 건축적 해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에 기초를 두었다. '보자르의 죽음(The Death of the Beaus Arts)'이라는 제목의 부연 대화에서 M.A. 밀른(M.A. Milne)과 C.W. 러시(C.W. Rusch)는 "(건축 교육의) 방법이 인간에게 적합하도록 변화하고 있으며, 건축 교육은 과학적 기술로 학생들을 점점 더 단련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또한 "건축가들이 학자로 훈련을 받는 것이 아니며 그들은 자기들의 일이 그런 특성을 나타낸다는 기대도 하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그들은 알렉산더의 방법을 지지하는 반면, "이 전체적인 접근방법이 건축 현실과는 너무나 멀리 있으며, 아직도 주관적 판단이 불확실하고 불완전한 정보를 기초로 만들어졌다"는 결론을, 토론을 마치며 끌어냈다. 이러한 평론들은 대부분 한때 과학적이고 직관적이었던 혼합 교수법의 어려움을 반영한다. 그러나 디자인 해답의 구성 요소인 프로세스 및 분석방법은 디자인 교과 과정의 주요 부분으로 오늘날 계속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대의 건축 디자인 교육

종종 어려웠던 이 시기의 과정을 통하여, 처음에 배운 과목인 '기초 디자인'은 대중과 전문가와 대학 내부로부터의 압력에 눌려 그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 '반점과 점'을 근거로 하는 기초 연구가 교사와 학생들에 의해 논의되었는데, 대부분 교사들은 그 방법을 사용하지만 학생들은 종종 기초 연구를 건축에 초점을 둔 작업으로 전개시키지 않았다. 이 책의 기고가인 조나단 프리드먼(Jonathan Friedman) 교수는 다음과 같이 잘 요약하였다.

 

그러니까... 건축의 기초 디자인을 가르치는 일은 어떤 의미에서 가장 보잘 것 없는 일이다. 스튜디오의 지도에 있어 하위방법에 속하는 그 일은 건축 학교 프로그램에서 최하위이며, 그 전문 직업 내에서 거의 아무런 지위도 없고, 일반 대중의 시각으로도 품위가 낮아 보인다.

 

'건축 교육 저널'이 대학들의 공식 기관지로 계속 발간되는 한편, 프리드먼 교수의 요약에 나타난 1979년에 당시 위스콘신 밀워키대학의 팀 맥기니 교수는 기고가들에게 '훌륭한 기초 디자인 프로젝트'라고 명명한 기초 디자인 문제들을 비공식적으로 수집한다고 전국적으로 알렸다. 기고가들은 그들 작품의 사용에 대한 답례로 제출한 완성 작품을 되돌려 받을 것을 약속받았다. 마지막 문서는 거의 30년 동안의 기초 디자인 교육의 위상에 걸맞는 첫 기록이며, 변화가 감돌고 있다는 자각을 알리는 시작이었다. 제출된 39개의 프로젝트 중에서 11개가 바우하우스 모델의 일반적인 범위 내에 있었다. 진정한 놀라움과 변화의 조짐은 프로젝트의 균형이 건축적 문제들의 광범위한 분포와 관련된다는 점이었으며, 5개는 출처가 분명한 건축 디자인 문제를 중심으로 건축의 신비를 직접 파악하는 입장으로 전통적인 것을 무시하였다.

약 5년 간격으로 맥기니의 지도에 따라 각 저자들은 각 단계별로 범위를 확대하고 제출물의 분석에 기울인 처음의 노력을 포함하여 '훌륭한 기초 디자인 프로젝트'를 2회 이상 수집하였다. 그 결과는 분명하였는데 각각의 연속적인 편집은 건물 디자인 혹은 '건축' 문제를 위한 순수하게 추상적인 연구가 쇠퇴함을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제 2판에는 성격 면에서 바우하우스 경향의 프로젝트가 5개만 들어있었다. 건축적 프로젝트는 30개였는데, 그중 15개는 건물 디자인에 관련된 것이었다. 1988년에 출판된 '훌륭한 기초 디자인 프로젝트' 제 3권에 수록된 38개의 프로젝트 중에서, 11개는 추상적이었고, 11개는 건축적 문제의 범위를 연구하는 것이었고, 16개는 순수한 건물 디자인이었다. 작품집에는 바우하우스의 흔적이 약간 남아 있었으며 바우하우스 모델에 정확하게 맞는 프로젝트는 두 개만 담겨 있다. 이 작품집에 추상적 문제가 너무 많음에 대해 약간의 의견이 있었던 반면, 지난 50년간 휩쓸었던 유럽의 전통, 특히 바우하우스의 전통이 많은 건축 학교에서 쇠퇴하고 있다는 것을 타나내고 있다.